소아이비인후과

저희 병원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
중이염


◎ 중이염이란?

귀의 중이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귀와 코는 '유스타키안 튜브'라고 하는 이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특히 아이들은 이관 길이가 어른보다 짧기 때문에 귀로 세균이 침투하기 쉽습니다.
길이 뿐 아니라 위치, 모양 역시 어른보다 중이염에 걸리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

대개 중이염은 생후 3개월에서 3세 사이의 유소아가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아이가 유치원, 어린이집에 다닐 경우 감기의 전염으로 중이염에 더 잘 걸릴 수 있습니다.

◎ 중이염 주요 증상

소아과에서 중이염 치료를 받는 아이들을 보면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.
다만 아래와 같은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중이염을 의심하고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
  • 1
    고열 증상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
  • 2
    감기 증상과 동시에 귀에서 물이 나오는 경우
  • 3
    감기 걸린 상태에서 심하게 우는 경우
  • 4
    귀를 자꾸 만지는 경우
  • 5
    감기 증상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

◎ 중이염 치료

대부분 중이염은 통원하며 약물 치료로 개선 가능하나 증상이 심하면 그 이상의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.

  •  01
    약물치료
    중이염의 치료 원칙은 약물치료이며 균을 없애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.
    항생제는 전문의 처방에 따라 균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계속 투여합니다. (보통 2주 내외 투여)
  •  02
    고막절개술
    증상이 심한 경우 고막절개술을 고려해야 합니다.
    고막을 작게 절개한 후 액을 배농하여 통증을 줄이는 원리로 절개된 구멍은 수일 안에 회복되며 고막에 손상을 주진 않습니다.
    ※ 다만 중이염이 완전 치유되기 전 다시 액이 저류할 수 있어 절개창에 작은 튜브(환기관)를 유치시킬 수도 있습니다.

부비동염(축농증)


◎ 부비동염이란?

흔히 축농증이라고 불리는 질환입니다.
부비동이란 공기 구멍에 염증이 생겨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.

부비동은 상악도, 접형동, 사골동 그리고 전두동 등 네 가지로 구성돼 있습니다.
소아 축농증은 주로 광대뼈 속에 있는 상악동이 문제를 일으켜 나타납니다.

◎ 부비동염 주요 증상

소아 축농증은 아데노이드 비대증과 삼출성 중이염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.

급성 부비동염

  • 녹색 또는 황색의 비강 분비물
  • 뺨, 눈 주위의 안면부 압력감과 동통
  • 38도 이상의 고열
  • 위쪽 어금니의 통증

만성 부비동염

  • 목뒤로 코가 넘어가는 현상
  • 코막힘, 후각의 감소 및 소실
  • 38도 미만의 미열 및 두통
  • 만성인두통과 기침

◎ 부비동염 치료

축농증 의심이 들면 콧속 진찰 및 방사선 촬영이 필요하며 엑스레이 검사 상 부비동이 희뿌옇게 보이면 축농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.

약물치료가 원칙
약물치료가 원칙이며 항생제와 점막수축제 등을 사용합니다.
급성의 경우 대개 14일간 치료가 필요하며 그 후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한다면 최소 3주 간 치료를 이어가야 합니다.

유소아 축농증은 자주 재발하는 것이 문제이지만 성장과 함께 면역 기능 및 해부학적 구조가 성숙해지면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.